계산기

원리금균등 vs 만기일시 상환, 어떤 대출 방식이 더 유리할까?

또르루 2025. 6. 29. 02:42
  • 트위터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톡 공유하기
  • 밴드드 공유하기
  • 링크 공유하기

대출을 받을 때, 그냥 '이자율'만 보고 결정하셨던 적 있나요?
저도 그랬습니다. 그런데 이번에 원리금균등상환 / 원금균등상환 / 만기일시상환
이 세 가지 방식이 총 납입 금액에 큰 차이를 만든다는 걸 직접 확인하게 됐습니다.

실제 계산 조건

  • 대출금: 3천만 원
  • 이자율: 연 4%
  • 대출기간: 36개월
  • 거치기간: 없음
  • 상환 방식: 각각 계산해 비교

계산기 결과 요약

  • 원리금균등상환: 매달 일정 금액 납부, 총 이자 약 188만 원
  • 원금균등상환: 초반에 부담이 크지만, 총 이자 약 174만 원
  • 만기일시상환: 매달 이자만 내고, 마지막 달에 원금 일괄. 총 이자 약 360만 원 이상

생각보다 차이가 크죠?
같은 조건인데 상환 방식만 바꿔도 수십만 원 차이가 생깁니다.

거치기간이란?

대출 초기에 원금을 안 갚고 이자만 내는 기간이에요.
예를 들어, 거치기간을 6개월로 설정하면
처음 6개월은 이자만 납부하고, 이후부터 원금+이자 상환이 시작됩니다.

어떤 상환 방식이 나에게 유리할까?

  • 원리금균등상환: 매달 일정하게 부담하고 싶을 때
  • 원금균등상환: 이자 총액을 줄이고 싶을 때
  • 만기일시상환: 초기 부담을 피하고, 만기 상환이 가능한 경우

대출 전 반드시 계산해보세요

인터넷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대출 이자 계산기를 이용하면
총 이자, 월별 납입액, 상환 스케줄까지 바로 나옵니다.

대출 이자 계산기 바로가기

요약하자면...

  • 대출은 단순히 “이율”이 아니라, “상환 방식”이 핵심입니다
  • 같은 금액이라도 이자가 수십만 원 차이날 수 있습니다
  • 계산기로 직접 비교해보고 결정하는 게 진짜 똑똑한 선택입니다
728x90
반응형